티스토리 뷰
◆ 손끝 발끝까지 온몸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
여성에게 많은 냉증은 혈류를 나쁘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이다. 거꾸로 혈류가 나쁘면 냉증이 찾아온다.
몸이 차가워지면 혈관이 수축되고, 혈액순환이 나빠지므로 몸을 따뜻하게 해서 혈류를 개선해야 한다.
여성들에게 오는 냉증은 단순히 손발이 차가워도 힘든 것을 넘어서 생리통과 생리불순 두통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됨으로 손발과 온몸이 따뜻하게 유지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특히 차가워지기 쉬운 곳을 중심으로 그 부위를 따뜻하게 하는 방법과 냉증 예방법을 소개한다.
평상시 체온 36.5℃ 이상을 목표로 해서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생활을 시작해보자.
1. 끓인 물을 매일 천천히 마신다
<효과>
① 차가워진 위장이 따뜻해지고 내장기관의 혈류가 좋아진다.
② 내장기관의 온도가 올라가면 대사가 활발해지고, 살이 쉽게 빠진다.
③ 장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변비가 해소된다.
내장기관이 따뜻해지면 지방이 잘 연소되는 체질로 바뀐다.
시간도, 돈도, 그다지 큰 노력도 들지 않고 간단하게 건강해지는 방법이 '따뜻한 물 건강법'이다.
그냥 맹물만 데워서 마시면 된다. 위장이 따뜻해지고, 혈액순환이 원활해지면서 건강과 미용에 좋은 영향을 준다.
우리는 손과 발처럼 몸의 표면이 차가워지는 것을 걱정하지만, 사실 위장 등의 내장기관도 차가워지기 쉬운 부분 중 하나다.
몸속이 차서 위장의 혈류가 나빠지면 소화불량, 변비 등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피부가 거칠어지고 머리카락이 푸석푸석해지는 경우도 있다.
따뜻한 물을 조금씩 자주 마셔 위장을 따뜻하게 하면 이런 증상이 개선된다.
한 가지 팁을 알려주자면, 따뜻한 물에 시나몬 같은 향신료를 첨가하면 혈액순환이 더욱 촉진되어 효과적이다.
▶따뜻한 물을 올바르게 마시는 방법
▼
.
1. 주전자에 물을 넣고 끓인다.
2. 팔팔 끓었다면 약불로 줄이고 그대로 15분 동안 둔 뒤 불을 끈다.
3. 그대로 놔두어 50℃ 정도까지 식힌 후에 천천히 마신다.
차가운 물을 섞어서 식히지 말고, 그대로 놔두고 식혀야 한다.
▶ 따뜻한 물을 마시는 양
1. 하루에 마시는 물의 양은 평균적으로 700~800ml를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수분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하면 좋지 않으므로 이는 어디까지나 평균적인 기준이며, 이보다 적게 마셔도 상관없다.
2. 아침, 점심, 저녁으로 나누어 자주 마시는 것이 이상적이다.
한꺼번에 500ml를 마시지 말고 비슷한 양이면 1잔(150~200ml)씩 3번에 나누어 마시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조금씩 자주 마시라는 의미다.
아무리 애써도 물 마시는 게 괴로운 사람은, 먼저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따뜻한 물 1잔 마시는 것을 목표로 삼아도 충분하다.
그리고 물을 마실 때는 단숨에 벌컥벌컥 마시지 말고, 1잔을 10분에 걸쳐 천천히 마신다.
식전이든 식후 언제 마셔도 상관없다.
2. 1년 365일 하루 24시간 배를 따뜻하게 감싼다.
<효과>
①복대를 착용하면 코르셋을 입은 효과가 있어서 복근이나 등근육 강화에 도움을 준다. 대사가 활발해진다.
②신장과 방광이 따뜻해져서 부기가 해소된다.
③배변이 좋아져서 다이어트 효과도 있다.
▶ 배를 감싸기만 해도 각종 증상이 개선된다.
복부에는 위와 장 외에도 수분대사를 담당하는 신장 등의 장기가 모여 있다. 따라서 복대로 배를 따뜻하게 하면 이런 장기의 기능이 활발해져서 냉증이 개선되고, 붓기가 빠진다. 변비가 사라지면서 피부결도 좋아진다.
▶몸을 늘 따뜻하게 하는 방법
1. 내의를 입는다.
복대를 하고 그 위에 내의를 한 겹 껴입으면 보온효과가 높아진다.
일부 기능성 내의는 보온효과가 뛰어나도 통기성이 좋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피부가 예민한 사람은 순면 재질의 내의를 고르자.
2. 목에 항상 스카프를 두른다.
배와 마찬가지로 목도 차가워지기 쉬운 곳 중 하나다.
겨울에는 머플러를 한 겹 두르기만 해도 온몸의 따뜻함이 완전히 달라지므로 겨울철에 외출할 때는 반드시 머플러를 지참하자.
봄가을이나 에어컨이 세게 나오는 곳에서도 늘 가벼운 스카프를 둘러 목이찬바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3. 추운 곳에서는 무릎담요를 덮는다.
직장에서 일하다 보면 냉난방을 내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런 환경에서 일하는 사람은 무릎담요를 준비하자.
겨울철은 물론 여름철에도 지나치게 냉방을 세게 틀어놓은 공간에서는 무릎담요를 덮어서 체온을 빼앗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에어컨을 잠시만 꺼보자
<효과>
① 냉방 때문에 안 좋아지는 혈액순환을 예방하고, 두통과 어깨 결림이 개선된다
② 여름 냉증을 예방하고, 대사를 활발하게 한다.
③ 실내외의 온도 차를 적당하게 유지하면 냉방병을 예방할 수 있다.
▶여름철에 더위를 먹거나 몸이 차가워지지 않도록 한다.
'여름 냉증'으로 고생하는 여성이 늘고 있다.
여름 냉증은 여름철에도 항상 몸이 차가운 증상을 말한다.
이것은 지나친 수분 섭취와 너무 낮은 실내 온도가 원인이다.
에어컨을 세게 튼 공간에 오랜 시간 있으면, 우리 몸은 몸의 열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혈관을 수축시킨다.
이로 인해 혈액순환이 정체되어 냉증, 두통,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실내외의 온도 차이가 심하면 자율신경의 균형이 무너진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에어컨을 틀지 않는 생활에 익숙해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무더운 날에 에어컨을 틀지 않고 있으면 열사병에 걸릴 우려가 있다.
선풍기나 에어서큘레이터 등으로 공기를 순환시키고, 실내를 외부 기온보다 3~4℃만 낮게 유지하자
▶냉방을 너무 세게 튼 곳에 오래 있을 때의 대처법
1. 무릎 담요나 겉옷을 두른다.
2. 숄을 둘러서 목을 따뜻하게 한다.
3. 따뜻한 음료나 음식을 먹는다.
4. 1시간에 한 번 어깨를 돌린다.
5. 집에 돌아온 후 반드시 따뜻한 물에 목욕한다.
'노화예방 - 모세혈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세혈관을 살리는 음식 올바르게 먹는 법 8 - 15 (4) | 2023.12.20 |
---|---|
모세혈관을 살리는 음식 올바르게 먹는 법 1 - 7 (2) | 2023.12.19 |
내 몸 체크리스트 - 혈류별 유형 A~F형 (0) | 2023.12.13 |
A. B. C 유형 (0) | 2023.12.13 |
혈류의 유형 분석 - D. E. F 유형 (0) | 2023.12.13 |
- Total
- Today
- Yesterday
- 우유문제
- 눈밑통증
- 몸의이상신호
- 장례필요사항
- 귀안진법
- 몽골의자연
- 고양이좋아하는냄새
- 장례시선택사항
- 시고르자브종
- 초원사라들
- 쑥뜸
- 국밥유래
- 코안진법
- 노화원인
- 차문화
- 조선에온서구인
- 미리알고예방하는안진법
- 서양인식사
- 모세혈관
- 사망후행정절차
- 객관적판단
- 유형별해법
- 노화방지
- 안진법
- 부교감신경
- 안티에이징호르몬
- 장례행정절차
- 운동과체중관계
- 고양이싫어하는냄새
- 이상증상신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