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모세혈관은 우리 몸 최대이 장기이다. 

모세혈관은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가느다란 혈관으로 몸 전체에 그물망 형태로 분포되어 있고, 단층의 내 패세포와 얇은 기저막으로 싸여 있어요.

혈관 벽에 드문드문 흩어져 있는 주피세포는 모세혈관이 소상을 입었을 때 활성화되며, 콜라겐을 생성해 상처를 회복하거나 새로운 혈관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모세혈관(성인)
직경 약 1/100mm, 머리카락의 1/10 정도
길이 약 9만9000km, 전체를 연결하면 대략 지구 2바퀴반
세 가지 혈관의 면적비례  동맥 1: 정맥 2: 모세혈관 700~800
전체수 약 100억 개

모세혈관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60조 개의 세포는 혈액을 통해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를 전달하여, 불필요한 이산화탄소나 노폐물을 회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네, 모세혈관은 영양분을 공급한 후 노폐물을 거둬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모세혈관이 막히면 어떻게 될까요?

동맥이나 정맥의 주요 역할이 혈액운반이지만 모세혈관은 동맥과 정맥사이에 존재하며 생명활동의 바탕이 되는 움직임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죠.

나이 들면서 혈액순환이 잘 안 된다고 하는 말은 모세혈관이 점점 약해지거나 막히게 된다는 의미죠.

탱탱하던 아기손이 주름투성이 노인의 손으로 변하는 원인 -모세혈관

 

사람은 모세혈관으로 살아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세혈관은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단순한 혈관을 넘어 생명과 연관된 물질을 교환하는 최전선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매우 정교한 행위들이 쉴 새 없이 이루어지고 있죠.

 

모세혈관의 물질 교환은 혈관을 만드는 세포와 세포 사이에 아주 구멍, 얇은 세포벽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요.

 

뇌. 위장. 간장 등 각 기관에 따라 모세혈관 벽에 투과성이나 물질이 통과하는 혈관 벽에 틈과 구멍의 크기가 다릅니다.  즉 모세혈관은 혈액을 운반한 물질을 크기 별로 구분하여 여과하는 천연 혈액 필터인 것이죠.

모세혈관이라는 필터를 통해 세포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 호르몬을 운반하고, 세포에게 불필요한 이산화탄소. 노폐물을 배출합니다.  예를 들어 페의 모세혈관은 이산화탄소와 산소를 교환하면서 혈액 속에 산소를 공급하며,  장의 모세혈관은 영양소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죠.

또한 삼투압 현상을 이용해 혈관 밖에서 혈관 안으로 수분을 끌어들이는 역할도 하는데요.

신장에는 '사구체'라는 모세혈관 다발이 좌우로 각각 약 100만 개 존재하는데, 하루에 180리터, 다시 말해 등유통(18L) 10개 분량의 물을 여과하고 있습니다. 

 

모세혈관의 기능 5가지

1. 산소를 전달하고 이산화탄소를 가져온다.

-우리가 호흡으로 들이마신 공기를 폐로 보내고, 폐 모세혈관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해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 몸은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데 이때 세포와 혈액 사이에 가스교환이 이루어진다. 이 장소가 우리 몸을 둘러싼 모세혈관인 것이다. 

 

2. 영양소를 전달하고, 노폐물을 회수해 온다.

-우리가 섭취한 음식은 그대로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소화기관에서 영양소를 미세하게 분해한다. 

영양소는 위장 점막 주름에 존재하는 모세혈관 혈액 속으로 흡수되어 몸 전체로 운반되죠.

그리고 몸속 세포 주변을 둘러싼 모세혈관을 통해 영양소가 세포로 전달되는데요.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한 노폐물은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 속으로 회수되고, 간이나 신장의 모세혈관으로 옮겨지게 됩니다.

 그곳에서 여과된 노폐물이 소변이나 배변으로 배출되게 되는 구조입니다. 

 

3.  면역물질을 파견하고 자신을 보호한다

-혈액은 병원균 등 외부의 적이 몸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막는 백혈구 등 면역세포도 운반합니다. 

모세혈관은 면역세포를 감염된 부위 등 필요한 장소로 파견해 바이러스나 세균과 싸우게 하는 것이죠.

이때 싸움이 일어나는 근처에 있는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에서도 외부에 적에 대항하는 성분을 분비하여 우리 몸을 감염과 질병에서 보호하게 됩니다. 

 

4.  호르몬을 운반하는 정보 전달을 한다. 

호르몬은 혈액을 타고 우리 몸이 필요한 정보를 목적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곧 생리가 시작됩니다'라는 정보는 혈액을 타고 '여성호르몬'이 운반되어 전달하는 것이죠.

 운반은 주로 모세혈관에 담당합니다.  모세혈관은 몸 전체에 그물망 형태로 분포되어 있고, 호르몬에 적합한 장소로 전다 하는 우리 몸의 통신망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5. 체온 조절을 한다.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모세혈관의 역할인데요.

날씨가 덥거나, 운동으로 체온이 올라가면 열을 밖으로 배출해야 체온이 유지되겠죠.

열을 배출하려면 피부에 가장 가까이에 있는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혈액량을 증가시켜 피부 표면 온도를 높여줍니다. 그렇게 되면 모낭과 땀샘이 열려 땀이 나게 되고 피부를 통해 열이 방출되어 체내에 열이 쌓이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반대로 추위로 체온이 내려갔을 때는 피부 근처에는 모세혈관이 수축되어 피부 표면에 혈액 흐름이 줄게 되고 피부 표면에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체내의 열이 방출되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이렇게 체온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죠. 

체온조절을 못하게 되면, 목숨과도 연관이 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다음은 모세혈관과 나이의 관계에 대해 글로 돌아오겠습니다.